국가해양기본조사
조사목적
유엔해양법 협약(‘94.11) 발효 후 해양관할권이 12해리 영해에서 200해리 배타적 경제수역(EEZ) 확대에 따라 관할해역 해양지구물리조사를 통한 체계적 해양영토관리
- 정보공개여부가 결정된 때에는 그 결과를 청구인에게 즉시 통지합니다.(별지 제6호 서식)
조사분야
- 해저지형, 해상중력, 해상지자기, 천부지층

<해저지형도>

<중력이상도>

<지자기전자력도>

<천부지층분포도>
해저지형도 |
---|
음향측심의로 해저의 수심을 측량하여 해저의 기복과 형상을 등심선으로 표시한 도면. 해저지형도는 해양지질학 및 해양지구물리학 연구에 반드시 최우선으로 필요한 기초자료이다. |
중력이상도 |
---|
해상중력계를 이용하여 지구의 중력을 측정하여 각 지점의 중력분포 형태를 등중력이상치로 표시한 도면. 지하자원 탐사, 지하지질구조 해석 그리고 지각평형 해석 등 다양한 지구물리학적 연구에 활용된다. |
지자기전자력도 |
---|
해상자력계를 이용하여 지구의 자기성분을 측정하여 등자력선으로 표시한 도면. 지자기 전자력의 상대적인 세기를 비교함으로써 해저 지하 구성물질의 특징을 추정할 수 있다. |
천부지층분포도 |
---|
해저표층 퇴적물의 형상 및 구조 등을 그 분포범위에 따라 표시한 도면 해저로 유입되는 퇴적물의 기원, 해저지형의 형태, 해류의 침식과 운송과 관련한 사항 등 해저지질구조를 알 수 있다. |
- 정보공개여부가 결정된 때에는 그 결과를 청구인에게 즉시 통지합니다.(별지 제6호 서식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