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가지명위원회
국가지명위원회 설치 운영
- 설립 배경 및 목적
우리나라 지명은 중앙지명위원회에서 담당하여 왔으나 1996년 해양수산부 출범과 함께 국제수로기구(IHO)의 권고사항인 해양지명기관 설립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2002년 7월 1일 국가지명위원회가 출현하게 되었습니다.
2010년 「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」 제91조 제1항, 제6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87조에 따라 국가지명위원회가 발족되어 기존의 중앙지명위원회와 국가지명위원회가 통합되어 운영되고 있습니다.
국가지명위원회는 지명 및 해양지명의 제정, 변경과 그 밖에 지명 및 해양지명에 관한 중요 사항을 심의ㆍ의결하기 위하여 해양수산부에 설치되었으며,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우리나라 해양지명의 표준화를 위하여 해양지명 조사 및 연구 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, 해양지명에 관한 사항을 심의ㆍ의결하여 결정하며 해양수산부장관의 고시를 통하여 해양지명을 공식화하고 있습니다.
또한 국제적인 교류·협력을 위해서 국제수로기구 산하 국제해저지명소위원회 심의를 거쳐 해저지명목록집(Gazetteer)에 등재하는 등 대외적인 활동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.
- 국가지명위원회 구성
- 위원장은 지명 및 해양지명 제정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위원회를 분리하여 운영할 수 있습니다.
- 지명(국토지리정보원 담당)
- 부위원장 : 국토지리정보원장 1인
- 위촉된 위원 9인 : 「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」제87조제3항제1호부터 제5호
- 전문가 위원 9인 이내 : 「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」 제87조제3항제6호에 따라 위촉된 지명분야 전문가
- 해양지명 (국립해양조사원 담당)
- 부위원장 : 국립해양조사원장 1인
- 위촉된 위원 9인 : 「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」제87조제3항제1호부터 제5호
- 전문가 위원 9인 이내 :「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」 제87조제3항제6호에 따라 위촉된 지명분야 전문가
- 해양지명과 관련된 우리원 기능
- 해양지명의 제정 · 변경
- 해양지명의 조사 · 연구 · 정비 및 그 계획수립
- 해양지명의 조사 · 연구 · 인정에 관한 국제적인 교류와 협력
- 해양지명과 관련된 연구기술 등의 발전에 필요한 사항
- 국내 해양지명 표준화를 위한 흐름도

해양지명의 정의 및 분류
해양지명의 정의
자연적으로 형성된 해양·해협·만·포 및 수로 등의 이름과 초, 퇴, 해저협곡, 해저분지, 해저산, 해저산맥, 해령 및 해구 등의 해저지형의 이름을 말함(「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」 제2조 제17호)
해양지명의 분류해양지명 표준화 편람 상의 해양지명의 분류는 크게 해상지명과 해저지명으로 구분
1. 해상지명
구분 | 한글 | 한문 | 영문 | 로마자 |
---|---|---|---|---|
1. 바다 | 대양 | 大洋 | Ocean | Daeyang |
바다 | 海 | Sea | Bada | |
2. 수로 | 해협 | 海峽 | Strait / Sound | Haehyeop |
수도 | 水道 | Channel | Sudo | |
항로 | 航路 | Passage | Hangno | |
3. 간출지형 | 간출암 | 干出岩 | Rock | Ganchuram |
4. 만 | 해만 | 海灣 | Gulf | Haeman |
만 | 灣 | Bay | Man | |
개만 | 開灣 | Bight | Gaeman | |
포 | 浦 | Inlet / Creek | Po |
2. 해저지명
구분 | 한글 | 한문 | 영문 | 로마자 |
---|---|---|---|---|
1 | 기요 | Guyot | ||
2 | 단열대* | 斷裂帶 | Fracture Zone | Danyeoldae |
3 | 대륙붕 | 大陸棚 | Shelf | Daeryukbung |
4 | 대륙사면 | 大陸斜面 | Slope | Daeryuksamyeon |
5 | 마운드* | Mound | ||
6 | 모트 | Moat | ||
7 | 사퇴* | 砂堆 | Sand Ridge | Satoe |
8 | 실 | Sill | ||
9 | 심해평원 | 深海平原 | Abyssal Plain | Simhaepyeongwon |
10 | 안부 | 鞍部 | Saddle | Anbu |
11 | 암염돔* | Salt Dome | Amyeomdom | |
12 | 에이프런 | Apron | ||
13 | 열개지* | 裂開地 | Rift | Yeolgaeji |
14 | 이화산* | 泥火山 | Mud Volcano | Ihwasan |
15 | 지형구 | 地形區 | Province | Jihyeonggu |
16 | 천퇴 | 淺堆 | Shoal | Cheontoe |
17 | 초 | 礁 | Reef | Cho |
18 | 칼데라* | Caldera | ||
19 | 퇴 | 堆 | Bank | Toe |
20 | 해각 | 海脚 | Spur | Haegak |
21 | 해곡 | 海谷 | Trough | Haegok |
22 | 해구* | 海溝 | Trench | Haegu |
23 | 해봉 | 海峰 | Peak | Haebong |
24 | 해산 | 海山 | Seamount | Haesan |
25 | 해산열 | 海山列 | Seamount Chain | Haesanyeol |
26 | 해연 | 海淵 | Deep | Haeyeon |
27 | 해저간극 | 海底間隙 | Gap | Haejeogangeuk |
28 | 해저계곡 | 海底溪谷 | Valley | Haejeogyegok |
29 | 해저구릉 | 海底丘陵 | Hill | Haejeogureung |
30 | 해저놀 | 海底놀 | Knoll | Haejeonol |
31 | 해저단구 | 海底段丘 | Terrace | Haejeodangu |
32 | 해저대지 | 海底臺地 | Plateau | Haejeodaeji |
33 | 해저분지 | 海底盆地 | Basin | Haejeobunji |
34 | 해저선상지 | 海底扇狀地 | Fan | Haejeoseonsangji |
35 | 해저수로 | 海底水路 | Sea Channel | Haejeosuro |
36 | 해저융기부 | 海底隆起部 | Ridge | Haejeoyunggibu |
37 | 해저절벽 | 海底絶壁 | Escarpment | Haejeojeolbyeok |
38 | 해저제방 | 海底堤防 | Levee | Haejeojebang |
39 | 해저혈 | 海底穴 | Hole | Haejeohyeol |
40 | 해저협곡 | 海底峽谷 | Canyon | Haejeohyeopgok |
41 | 해첨 | 海尖 | Pinnacle | Haecheom |
42 | 해팽 | 海膨 | Rise | Haepaeng |
43 | 화구/분화구* | 火口 / 噴火口 | Crater | Hwagu/bunhwagu |
* 성인적 의미를 지닌 지형의 속성지명은 별표(*)로 표시